본문 바로가기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독일국방군]

[공략/독일] COH2 : 스터그 3호 돌격포 E형 (StuG III Ausf. E Assault Gun)

by 구호기사 2021. 7. 19.
728x170

특성 내용 비고
이름 스터그 3호 돌격포 E형 스터그 III 아우스프. E 어설트 건
(StuG III Ausf. E Assault Gun)
필요지휘관
방어 교리
기계화강습 교리
Defensive Doctrine
Mechanized Assault Doctrine
커맨드 포인트
5 CP 전투태세 2단계 필요
분류
전차 전차 (Armour)
돌격포 (Assault Guns)
스터그 (Stug)
비용 260 인력 75 연료  
인구 8  
기본무기 7.5cm KwK 37 L/24 주포 7.5cm KwK 37 L/24 x1
장착무기 MG42 상부기관총 Pintle-mounted MG42 Machine gun (30 탄약)
기본스킬 연막탄 포격 Smoke Barrage (무료)
베테런시 스킬 대전차 고폭탄 HEAT Shell (35 탄약)
베테런시 Vet ☆ (870)
Vet ☆☆ (1740)
Vet ☆☆☆ (3480)
대전차 고폭탄 가능
장갑 +30%, 재장전 -15%
재장전 -30%, 최고속도 +20%, 선회 +20%, 가감 +20%
성능 - 무한궤도 전차
- 전차 주포 긴 사거리 (50)
- 전차 동축 기본 사거리 (35)
- 전차 기본 시야 (35)
- 전차 기본 은신감지 (10)
- 0벳 피격율 17배 페널티
- 2벳 피격율 17배 페널티, 장갑 +30%, 재장전 -10% 보너스
- 3벳 피격율 17배 페널티, 장갑 +30%, 재장전 -37%, 모든속도 +20% 보너스
- 중간 장애물 파괴가능
- 보병 압살 가능
특이사항
외부 소환유닛
고정포탑
사격금지 가능
보병에게 엄폐 제공
비추적 투사무기 (주포)

 

 

1. 무장

- 기본 무장 -

스터그 3호 돌격포 E형 (StuG III Ausf. E Assault Gun)

 

체력
장갑
(전/후)
 최고속도
가감속도
(가/감)
 선회속도 빙판
속도보정
560 기본 140/70
2벳 182/91
기본 6
3벳 7.2
기본 2.1/3.9
3벳 2.5/4.7
기본 28
3벳 33.6
60%

 

체력 75% 이하
모듈손상
체력 50% 이하
모듈손상
체력 20% 이하
모듈손상
체력 0% 이하
모듈손상
없음 없음 10% 주포파괴 5% 승무원 탈주

 

스터그 3호 돌격포는 3호전차의 차체에 단포신 4호전차 주포를 얹은 돌격포입니다.

E형은 초기에 쓰인 버전으로, 단포신 주포를 장착하여 보병지원용으로 사용했습니다. 단포신 주포는 위력이 약했지만, 연사력이 빨라 보병을 지원하면서 적의 방어시설을 철거하는데 유용하여 대량으로 사용되었습니다. 허나, 전차에게 무력하였기에, 점차 장포신 KwK 40 L/48 주포를 장착한 스터그 G형으로 대체하게 되었습니다. 

스터그 E형은 G형과 같은 차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스펙도 동일합니다. 단포신이면 기동력이 더 좋아야 하는거 아닌가... 차체가 낮아 중형전차보다 피탄확률이 낮지만, 체급이 작은 3호전차의 차체를 쓴데다 경사장갑을 제대로 채용하지 못해, 야크트판저 같은 경사장갑 구축전차에 비해 내구력이 부실했던 편... 이를 반영한건지 체력이 일반적인 중형전차보다 낮습니다.

스터그 G형은 체력이 560이라서, 피해 160의 대전차 무기에 네번을 버틸 수 있습니다. 하지만, 3번을 맞으면 체력이 20% 미만으로 떨어져 주포가 파괴될 수 있으니, 난타전을 벌일때 주의합시다.

 

더보기

2015. 6월 패치에서 체력이 480에서 560으로 증가하였습니다. 덕분에 대전차포 3발에 끔살당하던게 4발로 변경되어, 생존성이 대폭 상승하였습니다.

 

2017. 3월 패치에서 체력이 560에서 480로 다시 롤백되었습니다. 줬다뺏는 렐릭...

 

2018. 12월 패치에서 체력이 480에서 560으로 또 한번 롤백되었습니다. 뺏다주는 렐릭... 또, 피격율 페널티가 20배에서 17배로 줄어들어, 적의 대전차무기가 빗나갈 확률이 높아졌습니다.

 

2베테런시를 달성하면 측면에 쉬르첸(Schürzen)이 장착되어, 장갑이 30% 향상됩니다. 관통력이 낮은 대전차무기에 저항력이 강해지지만, 체력은 그대로이므로 고관통 무기나 도탄피해가 높은 무기는 주의합시다.

쉬르첸을 단 스터그 E형에 승무원 탈주가 일어나서 재노획한 경우, 베테런시 보너스가 초기화되어 장갑 보너스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외형적으론 쉬르첸이 달려있지만, 다시 2베테런시를 달성해야 장갑 보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7.5cm 37식 27구경장 주포 (7.5cm KwK 37 L/27)

 

피해량 명중률
(근/중/원)
사거리 사거리
보정
관통력
(근/중/원)
사격각
(좌/우)
기본 80
도탄 0
5%/3.75%/2.5% 0~50 -1/-1/-1 55/50/45 8도/8도

 

조준
준비
조준
시간
사격후
조준시간
재장전시간 이동
명중
0.125 0.125 400% 기본 6
2벳 5.1
3벳 3.6
50%

 

폭발
범위
AOE판정
(근/중/원)
AOE관통
(근/중/원)
피해보정
(근/중/원)
산탄도
4 0.75/0.35/0.2 41.25/37.5/33.75 75%/35%/20% 정지 3
이동 6

 

스터그 E형에 장착된 주포는 단포신 7.5cm 버전으로 고폭탄을 발사합니다. 초기버전에선 짧은 사거리의 직사형 전차포였지만, 한번 리뉴얼을 거쳐서, 긴 사거리에 느린 탄속으로 발사하는 비추적 투사체(명중판정에 성공해도 탄이 목표를 추적하지 않음) 주포가 되었습니다. 곡사로 발사하기 때문에 낮은 장애물을 넘어서 사격할 수 있는 것이 특징...

주용도는 대보병용입니다. 브룸베어와 비교하면 폭발범위가 좁고, AOE 근거리 피해판정이 75%라서(피해 60점) 체력이 가득 찬 보병을 한방에 잡지는 못합니다. 대신, 사거리가 길어서 안전한 곳에서 사격할 수 있는 것이 특징... 약한 화력도 여러대를 모으면 보완이 되므로, 2대 이상이 사격하면 살상력이 대폭 향상됩니다.

전차 상대로는 탄환이 추적하지 않는데다, 관통력이 낮고 도탄피해도 없어서, 도움이 안됩니다. 이 때문에, 대전차 유닛과 조합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적 전차가 다가오면 대전차 고폭탄을 쓰거나, 싸우지 말고 도망치는게 낫습니다.

 

 Tip. 어느정도 높이가 있는 장애물 뒤에 적이 보일 경우 스터그 E형은 반응하지 않지만, 지면 강제공격으로 공격하면 장애물 너머로 쏠 수 있습니다. (장애물이 너무 높으면 탄이 걸려서 불가능합니다.)

 

 

더보기

2015. 6월 패치에서 재장전시간이 3.8초에서 5.3초로 느려졌습니다. 맷집을 늘려준 반대급부로 화력을 감소시킨 듯...

 

2017. 3월 패치에서 대대적으로 리뉴얼 되었는데, 재장전시간이 6초로 더욱 느려진 대신, 폭발범위가 3에서 4로 늘어나고, 탄환도 느릿하게 발사하게 되었습니다. 또, 탄환이 약간의 고각으로 발사하므로, 낮은 장애물을 쉽게 넘을 수 있게 되어, 브룸베어와 흡사한 방식으로 공격하게 되었습니다. 

AOE 데미지보정도 원거리가 늘고 근거리가 늘어, 소위 말하는 로또샷이 적게 발생하는 대신, 적 보병 분대 전체의 체력을 골고루 깎기 쉬워졌습니다. 전체적으로 탄속이 느려져서 전차전에선 쓸모가 없어졌지만, 엄폐한 보병이나 건물안의 보병에겐 더 좋아졌다고 불 수 있을듯...

 

2018. 12월 패치에서 한번 더 리뉴얼 되었는데 사거리가 45에서 50으로 길어지고, 탄속이 28에서 45로 빨라졌으며, 원거리 데미지 보정이 15%에서 20%로 증가했습니다. 대신, AOE 중거리 판정범위가 좁아져서 로또샷은 상대적으로 줄어든 편... 추가로 2베테런시의 재장전 10% 보너스가 15%로 증가하여, 0.3초 정도의 연사력 향상이 있습니다.

 

 

- 추가 무장 -

MG42 상부기관총 (Pintle-mounted MG42 machine gun)   30 탄약

 

피해량 명중률
(근/중/원)
사거리 사거리 보정
(근/중/원)
관통력
(근/중/원)
기본 4
도탄 0
47%/44%/41% 40 0/20/40 2.2/1.8/1.4

 

조준
준비
조준
시간
조준보정
(근/원)
사격후
조준
연사력 연사력보정
(근/원)
연사
시간
연사보정
(근/원)
0.625~1.25 0.25~0.625 50%/100% 50% 16 100%/87.5% 0.5~0.75 300%/100%

 

쿨다운 쿨다운보정
(근/원)
재장전 재장전보정
(근/원)
탄창 이동
명중
이동
연사
이동
쿨다운
1.5~2 50%/100% 4.1~4.6 100%
(보정없음)
4 60% 50% 25%

 

2021. 지휘관 패치에서 새롭게 생긴 무장. 이제 스터그 E형은, G형처럼 상부에 MG42 거치기관총을 장착할 수 있습니다.

다른 전차의 상부기관총보다 가격이 저렴하여 장착하는부담이 적지만, 전방에 제한된 사격각(35도/35도)을 가지고 있어서, 측후면의 목표에겐 사격을 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도, 고정포탑 전차는 주포가 전방으로만 사격하므로, 큰 단점은 아닙니다.

성능은 괜찮은 편인데 동축기관총 중에서도 보기 드물게 사거리가 40이라, 먼 거리에서 보병을 잘 잡는 편입니다. 명중률 편차가 적은 편이지만, 거리를 좁히면 연사시간이 대폭 늘어나고 쿨다운도 짧아지므로, 만만한 상대는 붙어서 사격하는게 좋은 편... 스터그 E형은 주포가 보병 체력을 골고루 잘 깎는 편이라, 상부기관총으로 체력을 깎아두는게 쏠쏠하게 도움이 됩니다.

단, 하나의 목표를 사격한다고 명중보너스를 받지는 않고, 대공사격도 불가능합니다.

 

Tip. 스터그 E형의 상부기관총은 스터그 G형의 상부기관총과 같은 데이터를 사용합니다. G형 기관총의 성능이 변하면, E형 기관총의 성능도 같이 변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2021. 잠수함 패치에서 스터그 상부기관총은 대공사격이 불가능해졌습니다. (어차피 격추확률 0%였으니 상관없는 변경점)

 

 

2. 스킬

- 기본 스킬 -

연막탄 포격 (Smoke Barrage)   무료

 

사거리 발사횟수
산탄도
20~80 4회 기본 10
안개 12.5

 

조준
준비
조준
시간
사격후
조준시간
쿨다운
재장전시간 사격
딜레이
0.375~0.625 0.125 400% 0 2.75~3 없음

 

2021. 지휘관 패치에서 새롭게 추가된 스킬. 이제 스터그 E형은 주포로 사거리 80 이내에 4발의 연막탄을 발사할 수 있습니다.

연막탄은 기본사격과 마찬가지로 낮은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며, 착탄되면 20초 동안 시야를 차단하는 연막을 생성합니다. 돌격 전에 적의 방어선을 무력화시킬 때, 제압걸린 보병을 구출할 때, 죽기 직전의 전차를 적의 대전차 무기로부터 보호하고 싶을때 등에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쪽도 연막에 시야가 차단되지만, 스터그 E형은 주포의 폭발범위가 넓기 때문에, 강제공격으로 연막안의 보병이나 중화기를 공격하면 됩니다.

사거리가 박격포와 비슷하고, 낮은 장애물을 넘어서 연막을 투사하므로, 박격포 연막탄과 비슷한 느낌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재사용시간이 55초로 박격포 연막탄보다 훨씬 길기 때문에, 1대로는 남발하기 어려우니 참고합시다.

 

Tip. 연막탄은 베테런시 보너스가 적용되지 않으며, 주포가 파괴되면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베테런시 스킬 -

대전차 고폭탄 (HEAT Shell)   35 탄약

 

피해량 명중률
(근/중/원)
사거리 사거리
보정
관통력
(근/중/원)
사격각
(좌/우)
40 1000%
(보정없음)
0~50 -1/-1/-1 1000
(보정없음)
15도/15도

 

조준
준비
조준
시간
사격후
조준시간
재장전시간 이동
명중
1.5 1 0% 0 50%

 

폭발
범위
AOE판정
(근/중/원)
AOE관통
(근/중/원)
피해보정
(근/중/원)
산탄도
1 0.25/0.5/0.75 130/120/110 100%/15%/5% 6.5

 

스터그 E형은 적 차량을 지정하여, Gr. 39 HEAT탄 1발을 발사할 수 있습니다.

타겟지정 스킬로, 적 차량이나 전차만 지정할 수 있으며, 목표가 움직여도 차체를 선회하여 자동적으로 사격각을 잡습니다. 하지만, 준비 중에 목표가 사거리 밖으로 벗어나면 스킬이 취소되니 주의...

대전차 고폭탄은 준비시간이 길고 피해량이 낮지만, 탄속이 직사로 매우 빠르게 날아가며, 확정 관통됩니다. 명중된 적 차량은 5초동안 시야가 0%가 되고, 무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난입한 적 전차 저지용으로 쓸만한 편... 하지만, 피해량이 너무 낮고, 스터그 E형 혼자선 대전차 고폭탄을 맞춰도 마무리를 못하기 때문에, 다른 대전차 유닛을 끌고 올 시간을 버는 용도로나 사용하는게 무난합니다. 그리고, HEAT탄에 맞아도 이동은 할 수 있으므로, 도망치는 전차를 잡아두는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재사용시간은 30초입니다.

 

Tip. 스터그 E형이 여러 대 있을 땐, 순차적으로 대전차 고폭탄을 맞춰서 장시간 무력화 할 수도 있습니다.

 

더보기

2015. 9월 패치에서 약점타격이 적 전차를 스턴시키는게 아니라 주포를 일정시간 사용하지 못하게 만드는 효과로 변경되었습니다. 스터그의 가격이 저렴하다보니, 여러대의 스터그가 시간차로 약점타격을 써서 적을 꼼짝도 못하게 만들고 파괴시키는 패턴이 강력해서 행해진 너프인듯... 이 때문에 스터그만으로 적 전차를 잡기가 조금 힘들어졌습니다.

 

2017. 3월 패치에서 데미지가 60에서 40으로 더욱 줄어들고, 주포 사용불가 효과가 시야차단과 공격방해 효과로 바뀌었습니다. 대신, 사용비용이 30탄약에서 35탄약으로 증가했습니다.

 

2021. 지휘관 패치에서 스킬이름이 약점타격에서 대전차 고폭탄(HEAT Shell)으로 변경되었습니다.

 

 

3. 운용

스터그 E형은 보병지원용의 단포신 돌격포입니다.

 

보조기갑 군단소에서 생산할 수 있는 장포신 스터그 G형과 성능이 많이 다른데, G형은 장포신 철갑탄으로 적 전차를 사냥하는데 특화된 반면, E형은 단포신 고폭탄으로 보병을 잡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초기버전에선 사거리가 짧은 직사형 주포를 사용했는데, 한번 리뉴얼되면서 사거리가 긴 곡사 포격을 쓰는, 중거리 포병 유닛이 된 것이 특징. 사거리가 길고 장애물을 넘을 수 있지만, 탄속이 느리고 비추적 투사체가 되었기 때문에, 전차전에선 거의 쓸모가 없습니다. 그래서, 보병과 중화기 살상 및, 건물 철거용으로만 활용됩니다.

 

소환조건이 전투태세 2단계 해금 + 5 CP로 변경되면서, 스터그 E형을 쓸 때는 보조기갑 군단소를 건너뛰고 소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경우, 3티어 전차들을 사용할 수 없지만, 보조기갑 군단소 건설비용을 아낄 수 있고, 4호보다 적은 부담으로 굴릴 수 있어서, 맵이 작거나 라인이 좁은 팀전에서 써볼만 합니다. 물론, 4호전차와 달리, 전차 상대로는 무력하므로, Pak 40이나 판저슈렉 기갑척탄병 같은 대전차 유닛을 준비하는 것이 필수적이고, 여유가 되면 진입로에 대전차 지뢰를 매설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만약, 적 전차가 스터그 E형을 노리고 난입해 온다면, 대전차 고폭탄을 맞춰서 시간을 번 뒤에, Pak 40과 판슈보병을 불러와서 쫓아냅시다. 무난하게 보조기갑 군단소를 건너 뛰었다면, 중전차 군단소를 올려서, 판터나 티거를 불러내어 탱킹을 맡기면 이상적인 조합이 완성됩니다.

 

스터그 E형을 운용할땐 반드시 다른 유닛을 앞에 세워야 합니다. 사거리는 길지만 시야가 평범하기 때문에, 단독으로는 제 성능을 발휘할 수 없고, 최전방에 세울 경우 고정포탑의 답답한 움직임 때문에 제대로 쏘지 못하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기본사격 사격각이 좌우 8도밖에 안됩니다...) 거기다 적 대전차포에게 포착당하면, 빈약한 맷집 때문에 버벅거리다가 허무하게 잃기도 하므로, 보병이든 전차든 반드시 다른 유닛을 앞세우고, 스터그 E형은 그 뒤를 따라다니면서 화력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용합시다. 이 때문에, 기동전이나 단독작전도 가능한 4호전차보다 수동적으로 운용하게 되므로, 맵빨을 많이 타는 편입니다.

 

브룸베어와 비교하면 한방 파괴력이 부족하고 맷집도 빈약하지만, 가격이 저렴해서 여러대를 모으기가 쉽고, 사거리가 길어서 안전한 곳에서 포격할 수 있습니다. 스터그 E형 한대로는 보병을 한방에 잡지 못해서 체감 살상력이 그리 좋지 않지만, 여러대를 모으면 포격을 피하기도 까다로워 지고 살상력도 눈에 띄게 향상됩니다. 스터그 E형 2대를 모아도 연료 150에 인구 16이라 브룸베어 1대보다 그리 부담스럽지 않은 것도 강점... 거기다, 브룸베어가 쓰지 못하는 연막탄을 쓸 수 있고, 대전차 고폭탄으로 다이브하는 적 전차의 발목을 잡아줄 수도 있으므로, 브룸베어와 어느정도 차별화된 운용도 가능합니다. 다만, 두 유닛의 역할이 겹치기 때문에, 스터그 E형을 다수 운용할땐, 브룸베어를 쓰지 않는 것이 정석입니다.

 

스터그 E형을 사용할 수 있는 지휘관은 다음과 같습니다.

 

방어 교리 : 동방부대 + 벙커 + 참호 + Pak 43을 조합하는 스타일

기계화 강습 교리 : 강습척탄병 + 250반궤도차량 + 티거를 조합하는 스타일

 

방어 지휘관은 방어적으로 운용하기 좋은 지휘관입니다.

동방부대와 콘크리트 벙커, 참호, 전차 장애물을 이용한 거점방어에 특화되어 있는데, 참호에 넣은 동방부대나 벙커로 시야를 확보하고, 스터그 E형의 포격으로 야금야금 피해를 주는 스타일로 교전하기 좋습니다. 적 전차는 강력한 Pak 43으로 저지할 수 있고, 피해를 입은 스터그 E형은 수리벙커로 후퇴하여 수리할 수 있으므로, 조합이 갖춰졌을때의 버티는 능력은 우수한 편... 하지만, 콘크리트 벙커와 Pak 43 둘 다 이동이 불가능해서, 넓은 라인을 커버해야 하는 맵에서는 효율이 떨어지고, 곡사포나 로켓차량 같은 사거리가 긴 포병유닛에게 공격당할땐 반격수단이 마땅치 않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그래서, 팀전이라면 팀원이 포병을 견제하기 좋은 지휘관을 선택하는 것이 무난합니다.

 

기계화 강습 지휘관은 공격적으로 운용하기 좋은 지휘관입니다.

초반에 강습척탄병을 활용하다가, 2티어를 건설할지 250 하노마크를 불러낼지 선택지가 갈립니다. 2티어를 건설하면 Pak 40을 생산하여 전차에 대비를 할 수 있고, 2티어를 건너뛰고 250 하노마크를 불러내었다면 판저슈렉 기갑척탄병을 태워 적의 차량이나 경전차를 견제할 수 있습니다. Pak 40은 수비적이고 안정적인 플레이에 좋고, 250 하노마크는 공격적이고 변칙적인 운영에 좋으므로, 취향에 따라 선택해도 무방합니다. 스터그 E형은 보병을 견제하면서 버티다가, CP를 모아 티거를 불러내어 마무리 하는 것이 기계화 강습 지휘관의 기본적인 운영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스터그 E형을 생략하고 3티어를 건설하여 4호전차를 운영하는 플레이도 나쁘지 않은데, E형을 쓰기로 마음먹었다면 티거를 불러낼 연료를 아끼기 위해 3티어를 생략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스터그 E형은 괜찮은 가성비를 가진 대보병 전차지만, 아무래도 중형전차들 보단 범용성이 떨어집니다.

라인이 좁고 중거리 포격을 활용하기 좋은 맵에선, 선 스터그 E 빌드도 괜찮은 선택이지만, 고정포탑 전차를 쓰기 힘든 맵에서 스터그 E형을 뽑았다가, 상대에게 주도권을 내줘서 끌려다닐 위험도 있습니다. 그래서, 해당 지휘관을 선택했다고 스터그 E형 소환에 너무 집착하지 말고, 상황에 따라선 선 4호전차로 빌드를 바꾸는 식으로 유연하게 대처합시다.

 

 

- 지난 패치내역 -

더보기

2015. 6월패치에서 스터그 차체를 사용하는 전차의 체력이 480에서 540으로 증가하여 생존력이 대폭 좋아졌습니다.

체력이 480일땐 대전차포 3대에 끔살당했지만, 540이면 4대까지 버틸 수 있기 때문... 대신, 스터그 E형이 너무 강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연사력이 소폭 하향되었습니다.

 

2015. 7월패치에서 소환에 필요한 커맨드 포인트가 6CP에서 7CP로 증가하였습니다. 팀전에선 6CP로 충분했으나, 개인전에서 너무 일찍 등장하여 게임을 터트리는 경우가 많다보니 행해진 너프인듯... 예전보다 등장시기가 늦어진만큼, 좀 더 조심해서 운영합시다.

 

2015. 9월 패치에서 적 전차를 스턴시키던 약점타격이 주포를 사용하지 못하게 만드는 효과로 변경되었습니다. 스터그 G형 저격너프인데, 옆에있던 스터그 E형이 후폭풍을 맞은 격...

 

2017. 3월 패치에서 대대적으로 리뉴얼되었는데, 예전엔 빠른 연사로 보병을 맞춰서 잡는 느낌이었다면, 지금은 넓은 폭발로 보병 다수에게 데미지를 주는 스타일로 변했습니다. 재장전시간과 탄속이 느려진 대신 폭발범위가 넓어졌으므로, 한발한발 신중하게 쏘는게 중요해진 편... 탄환이 고각으로 발사되므로 낮은 장애물을 넘을 수 있게 되었고, 폭발범위가 넓어져 건물안의 보병을 청소할때도 유효해졌습니다. 대신, 탄속이 느려 전차전에선 더욱 잉여가 되었고, 소환가격이 200 인력 75 연료에서 260 인력 75 연료로 비싸진데다, 체력이 560에서 480으로 감소하여, 전보다 몸을 사리면서 운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2017. 12월 패치에서 다른 국방군 유닛의 약점타격이 전부 리뉴얼되었는데, 스터그 E형만 그대로입니다. 실수로 빠트린거 같은데, 빠른 시일내에 바뀔듯... 덤으로, 다른 전차들처럼 사격금지 기능이 생겼습니다.

 

2018. 12월 패치에서 다시한번 리뉴얼 되었습니다.

 

1. 주포 사거리가 45에서 50으로 증가.

2. 탄속이 28에서 45로 증가.

3. AOE 근중거리 판정거리 감소. (1.5/2.5/4 → 0.5/1.75/4)

4. AOE 원거리 데미지보정이 15%에서 20%로 증가.

5. 체력 480에서 560으로 증가

6. 피격율 페널티 20배에서 17배로 감소 (G형은 20배 그대로)

7. 2베테런시 재장전 보너스가 10%에서 15%로 증가

 

전체적으로 살상력과 로또샷 능력은 감소했지만, 맷집과 사거리가 증가하여 운영하기 편해졌습니다. 특히 2017년 리뉴얼로 미니 브룸베어같은 짭퉁 유닛이 되었다가, 지금은 브룸베어 사거리가 35로 짧아지고, E형은 사거리가 50으로 길어져서 완전히 차별화되는 유닛이 되었습니다.

 

사거리 50은 시야 35나 일반적인 전차포 사거리 40보다 훨씬 길기 때문에, 정찰유닛을 잘 이용하면 일방적으로 팰 수 있습니다. 또, 주포가 웬만한 장애물을 넘기 때문에 미국의 자주곡사포처럼 장애물 끼고 적을 괴롭힐 수도 있습니다. 미국 자주곡사포는 사거리가 더 길고 데미지도 강하고 포탑이 돌아간다는 강점이 있지만, E형은 등장 타이밍이 빠르고 체력이 높고 장갑이 튼튼해,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다만 E형의 사거리를 최대한 이용하려면 정찰유닛이 필수입니다. 기간보병이나 공병을 이용해 시야를 밝히거나 여기저기 MG 벙커를 박아 시야를 확보해둬야 E형의 강점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습니다. 즉, 초기버전 E형처럼 최전방에서 탱킹하면서 싸우는게 아니라, 다른 유닛이 전선에서 싸우는 동안 뒤에서 꾸준하게 화력지원을 하는 포병유닛처럼 활용합시다.

 

2019. 9월 패치에서 등장 타이밍이 7CP에서 5CP로 단축된 대신, 배틀페이즈 2 업그레이드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타이밍상으론 이득이지만, 자원부담은 커진 편이니 주의...

 

2020. 4월 패치에서 배틀페이즈2 업그레이드 비용이 200인력 90연료에서 200인력 105연료로 변해서, 스터그 E형 소환 타이밍이 15 연료 늦어졌습니다.

 

 

- 최근 패치내역 -

2021. 지휘관 패치에서 스터그 E형에 MG42 상부기관총 업그레이드가 생기고, 기본스킬로 연막탄 포격이 추가되었습니다. 그리고 약점조준(Target Weakpoint) 스킬이 대전차 고폭탄(HEAT Shell) 스킬로 이름이 변경되었습니다.

 

MG42는 스터그 G형에 있던 기관총을 그대로 가져온거라, 장착비용이 30탄약으로 저렴하고, 사거리가 40으로 긴 편이며, 중장거리 보정이 좋아서, 거리를 좁히지 않아도 그럭저럭 화력이 나오는 괜찮은 동축기관총입니다. 아무래도 스터그 E형이 1대일때 적 보병이 이리저리 움직이면서 포탄을 피하면 제대로 피해를 주지 못했기 때문에, 상부기관총을 추가하여 보병 견제능력을 준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연막탄 포격은 사거리 80 이내에 4발의 연막탄을 주포로 발사하는 스킬입니다. 기본사격보다 훨씬 길기 때문에, 아군 후방에서 적 중화기를 무력화 하거나, 제압당한 아군 보병을 구하는 식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스터그 E형은 중화기 박격포보다 기동성이 좋고 거치시간이 필요하지 않지만, 박격포 연막탄보다 초탄 발사시간이 오래 걸리니 주의... 재사용시간이 긴 편이지만, 스터그 E형은 2대 이상 굴리는 경우가 많아, 교대로 발사하면, 큰 문제는 아닙니다.

 

전체적으로 상부기관총 추가로 보병 살상력이 보완되고, 연막탄 추가로 다양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되어, 전보다 더욱 쓸만해졌습니다.

 

 

Notice. 여기에 기재된 수치나 활용법은 패치로 언제든 바뀔 수 있습니다.
COH2는 데이터가 매우 복잡해서, 언급을 생략된 데이터도 많습니다.
내용에서 오류나 보완할 부분이 있으면 제보 바랍니다.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