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170
덴마크(Denmark)
Denmark is a relatively new kingdom in the world of Christendom, emerging from centuries of paganism under Viking rule. Exactly one hundred years ago, Harold Bluetooth, the Viking King of the Danes, embraced Christianity, not just personally, but also on behalf of his people. Though the Vikings' fierce conviction in battle was a true asset, forsaking these pagan ways and embracing Catholicism is what has actually elevated Denmark into a true northern power. With the Reich and other Catholic Kingdoms offering support against stubborn Viking pagans, the Kings of Denmark now enjoy an absolute authority that has never been seen in the region before. The Danes have no illusions that maintaining such authority abroad is an easy feat, having lost control of England within the last half century. In fact, forging agreements of co-operative leadership with the Norwegian royal court almost saw an end to Danish rule over the Kingdom of Denmark itself. So it would seem that both diplomatic and militaristic expansion are something the Danish Kings are yet to master. Arguably the most expedient move that the present King Knut II could now make would be to try to take the Scandinavian lands to the north rather than continue to negotiate with them. No mortal army could possibly dream of approaching Norway or Sweden's northern reaches, making the region an ideal set of easily defendable homelands. Crossing the Baltic Sea is also an obvious option that offers the Danes several access points into Eastern Europe without having to deal with the Imperial forces in Saxony. It is more than a little ironic that the Catholic powers of Europe that have secured Denmark's future are now the main obstacles to seeing that future improve.
역사
스칸디나비아 반도에는 바이킹으로 더 잘 알려진 데인족들이 살고 있었다. 이들은 스웨덴 지역에서 거주하다 점차 남하하여 덴마크 지방에 정착하였는데, 7세기경부터 적극적인 해적활동과 약탈활동을 벌였다. 노르만족의 이동이라 불리는 이 현상은, 러시아부터 시작해 인접한 프랑스, 잉글랜드는 물론 멀리 남이탈리아와 신대륙까지 영향을 미쳤으며, 많은 수의 바이킹들이 다른 지역에 정착하였다. 덴마크는 10세기경 카톨릭을 받아들이고, 크누트왕 때 덴마크, 노르웨이, 잉글랜드를 아우르는 거대한 제국을 세웠으니 오래가지 못했다. 이후, 스웨덴, 노르웨이와 왕실 통혼을 통해 동군연합으로 결속하였다.
군대
덴마크는 '바이킹'으로 널리 알려진 도끼를 장비한 보병들이 군대의 주축을 이룬다. 기병도 운용했으나 마상 전투에 능하지 못해 말은 이동의 수단으로만 사용하였고, 전투는 말에서 내려 보병으로 치루는 경우가 많았다. 바이킹들은 타고난 전사로 매우 잔인하고 용맹하였지만 전장에선 개인의 용맹보단 집단전을 중시하였는데, 방패의 벽을 만들어 화살을 막으면서 천천히 적에게 접근한 뒤에 적군을 분쇄하는 전술을 선호하였다. 바이킹들은 매우 우수한 선원이라 배를 다루는데 능숙하였으며, 배를 들러메고 내륙으로 들어와 강을 거슬러 올라가 약탈하기도 하였다.
장점: 다양한 보병의 조합이 가능함
- 빠른 타이밍에 등장하는 강한 보병진
- 장갑관통 특성의 병과가 많음
- 해군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
단점: 중기병이 부족함
- 등장시기가 늦은 중기병
- 궁병의 사거리가 짧음
- 창병이 매우 약함
시칠리아 (Sicily)
Although Sicily's proximity to Rome has given the island a rich history, it now stands as a true fledgling among the European powers. Six years before the Normans successfully conquered England, their first true island invasion was launched against the Saracens that occupied Sicily... with more than a little encouragement from the Papacy. King Roger I's nation may be a relative infant, but with an island capital, southern Italy under his control and a healthy relationship with the Papal States, it is an infant that looks likely to survive the journey to adulthood. Condoning the invasion of Sicily was only the beginning for the Papacy's support of the Normans. The sheer presence of Rome midway along the Apennine peninsula now serves as a sturdy political shield from the continental powers to the north. It's a barrier that looks likely to hold so long as the Catholic lords all remain faithful to the Papacy. Hiding behind a shield is however, not the way to establish an empire - nor is any defence without its weakness. The Holy Roman Empire shares borders with the Sicilians, and the armies of the Reich answer to the Kaiser - not the Pope. Even if the Sicilians successfully start to expand up the peninsula, they will soon have to deal with the Milanese and the Venetians. It would seem that the Normans will once again have to take to the waters to expand their latest kingdom. Close to home, other islands like Sardinia and Corsica make tempting targets for invasion. However, the Sicilians will need to look over the horizon to have a hope of long term survival. To the east, the Byzantine Empire is fractured and relatively vulnerable, and there's ample opportunity to take advantage of the chaos on the Iberian peninsula to the west.
역사
시칠리아 섬은 일찌기 비잔티움, 롬바르디아, 사라센의 각축장이었다. 이 중 롬바르디아가 남이탈리아로 흘러들어온 노르만족들을 용병으로 고용하였는데, 이들이 급료를 금이 아닌 토지로 요구하면서 시칠리아 지방에 노르만족이 정착하게 되었다. 이들은 곧 비잔티움, 롬바르디아, 사라센 세력을 몰아내고 시칠리아섬과 남 이탈리아 지방을 점령하여 시칠리아 왕국을 건설하였는데, 서유럽식의 봉건제도를 도입하여 이탈리아 국가로선 드물게 봉건국가로 성립되었다. 시칠리아 왕국은 주변에 있는 교황, 신성로마, 비잔티움, 베니스 등과 수시로 충돌하였고, 기스카르는 대규모의 비잔티움 원정으로 동방제국에 큰 위협이 되기도 하였다. 기스카르의 아들 보에몽은 왕위경쟁에서 밀려나 1차 십자군에 참전하여 안티오크 공국을 세우기도 하였다.
군대
시칠리아의 노르만족은 수가 적었기 때문에, 바이킹의 전통적인 보병 전술보단 중기병 충격전술을 선호하였다. 이들이 유명한 노르만 기사들로, 비잔티움의 기록에 따르면 '노르만 기사의 돌격은 바빌론의 성벽을 무너뜨릴 수 있을만큼 강하다' 라고도 전해진다. 시칠리아의 노르만 기사들은 카톨릭을 받아들였지만, 기사도를 전혀 따르지 않았기 때문에 비열함과 잔인함으로 악명이 높았다. 노르만 기사 외에 시칠리아에 거주하던 사라센인들을 군대에 편성하기도 하였는데, 이들은 전장에서 아랍식의 합성궁을 사용하는 궁수로 복무하였다.
장점: 강력한 민병대와 노르만 기사, 그리고 이슬람 아쳐
- 강력한 민병대
- 주력기병과 궁병의 등장시기가 빠름
단점: 후기에 우수한 기병이 부족함
- 후기에 강한 병과가 부족함
- 장갑관통 특성의 병과가 부족함
밀라노(Milan)
Milan is a city of both possibility and problems. The Archbishop of Milan was until very recently the most powerful political figure in Northern Italy, with the city well and truly under his thumb. Though still Catholic, the Milanese are breaking free from the control of the church to form a mighty, expanding municipality. The Milanese are surrounded by possible allies and enemies. The Alps provide Milan with a natural barrier to the north that ensures the city is relatively safe from Swabia and the Holy Roman Empire - If the Milanese hold the mountain passes, they can hold off Northern Europe. While the mountains fence Milan off from the world, Genoa serves as the coastal gateway to the Mediterranean and beyond. Though better positioned to expand into the rest of Europe than the other Italian peoples, the Milanese are also the most likely to have to confront the Northern European powers first, and will need to consolidate their position swiftly by working their way into the nearby provinces that the French and Germanic forces have not secured... yet.
역사
북이탈리아의 밀라노는 자치도시로 주변의 이탈리아 도시국가와 경쟁 상태에 있었다. 이를 노리고 신성로마의 프리드리히 1세가 개입하려고 하자, 주변의 자치도시들이 밀라노를 중심으로 연합하여 신성로마를 물리친다. 덕분에, 북이탈리아의 여러 도시국가들은 신성로마의 종주권을 인정하는 대신 자치와 특권을 계속해서 누릴 수 있었다. 이후, 밀라노에서 모직산업이 발달하면서 부르주아를 중심으로 한 겔프당과 귀족세력을 중심으로 한 기벨린당으로 나누어지는데, 데시오 전투에서 기벨린당이 승리하면서 비스콘디 가문이 정권을 잡게 되었다. 비스콘디 가문은 신성로마 황제에게서 대공의 작위를 받고 이를 세습하면서, 밀라노의 공화제는 막을 내리고 밀라노 공국이 탄생하게 된다.
군대
밀라노는 이탈리아 도시국가 중에서 보기 드물게 공화제가 아닌 공국이며, 이 때문에 시민들이 복무하는 보병과 귀족들이 복무하는 기병이 같이 운용되었다. 밀라노 남부에 위치한 제노바는 석궁으로 유명한데, 목재가 아닌 강철로 만든 석궁은 긴 사거리와 강력한 위력을 가지고 있었다. 제노바 석궁병들은 용병으로도 인기를 끌어 전 유럽에서 고용 되었는데, 특히 프랑스군에서 활약하였다. 밀라노는 갑옷으로도 유명한데, 밀라노식 판금 갑옷은 곡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적의 무기를 미끄러트리는 방식으로 방어력을 향상시켰다.
장점: 강력한 민병대와 석궁병, 그리고 후기의 기술력
- 강력한 민병대와 석궁병
- 성능이 우수한 화약무기
단점: 취약한 공격형 기병
- 장갑관통 특성의 병과가 부족
- 상징기가 없는 경우 전체적으로 사기가 낮음
폴란드(Poland)
The Kingdom of Poland is still a relative infant, but an infant that already appears to boast a considerable grip on the lands around the capital of Krakow. The Polish people can attribute their rapid rise out of obscurity to the Drang nach Osten (Drive towards the East) of the Holy Roman Empire, which saw the Kaiser searching for allies to help crush the Polabian Slavs. After converting to Christianity, Boleslaw the Brave saw it as his right and duty to conquer neighbouring lands, including thrusts as far east as Kiev, and even forays into Imperial lands during disputes between the Kaiser and the Pope. That last act of betrayal is a sign of recent times in Poland, with internal power struggles stalling the continued expansion of Polish borders. Fortunately for the Poles, the last King to rule with any true sense of stability, Kazimierz I, paved the way for granting fiefdoms to his warriors, establishing a tradition of feudalistic knighthood required to be a power in Europe today. Only now is order truly being restored with Wladyslaw Herman taking the throne with his brother being forced into exile. Siding with the Pope in his recent clashes with the Kaiser has helped establish Poland as a legitimate Catholic power, ensuring the Reich can no longer expand eastward with the blessing of Christendom. However, the lack of an immediate Imperial threat does not ensure that the Poles have an easy option to expand either. The Hungarian King László is simply too formidable and familiar with Polish ways to make moving southward a viable option, making securing the lands of the Baltic Sea the most appealing choice... Despite the fact it involves beating the Danes, the Russians and the Reich to the draw. If Poland is to maintain its new status as a genuine power, Wladyslaw must choose his next battle and enemy very carefully.
역사
동유럽엔 넓은 평야 지역에 슬라브족이 살고 있었는데, 그 중 서슬라브족이 연합하여 작은 국가들이 여럿 생겨났다. 이 국가들 중 하나를 통치하던 피아스트 왕조가 주변 지역을 통합하여 대폴란드를 건국하였는데, 미에슈코 1세가 카톨릭을 받아들이면서 하나의 통일 왕국으로 성립되었다. 남부의 슬라브 국가들은 따로 연합하여 소폴란드를 만들었는데, 대폴란드와 소폴란드 모두 피아스트 왕조를 군주로 섬겼다. 이후, 튜튼 기사단의 동방 십자군의 위협에 맞서 이웃한 폴란드와 리투아니아가 동맹을 맺게 되는데, 리투아니아의 군주와 폴란드의 공주가 결혼하면서 두 국가는 하나로 통합되었다.
군대
폴란드는 동유럽의 광활한 평원 덕분에 강력한 기병을 보유할 수 있었다. 슬라브족은 합성궁을 사용하는 전통이 없어 아랍 국가들 처럼 궁기병을 운용할 순 없었지만, 중무장한 강력한 기사와 빠른 속도로 적을 습격하는 경기병을 군대의 주축으로 삼을 수 있었다. 폴란드 기병은 유럽에서 상당한 명성을 떨쳤으며, 그 중 장창 보다 더 긴 5m 길이의 랜스를 장비하고 정면 돌격으로 장창병들을 무너뜨린 헤비 훗사르가 유명하다.
장점: 매우 강한 기병을 고용할 수 있음
- 강력한 기병진
- 쓸만한 경기병과 사격기병
단점: 다소 평범한 보병
- 초반에 쓸만한 보병이 부족함
- 궁병의 사거리가 짧음
- 장갑관통 특성의 병과가 부족
헝가리 (Hungary)
Exactly a full millennium since the birth of the Messiah, the Christian Kingdom of Hungary was born when Pope Silvester II sent the "Holy Crown" to signify that the pious noble István I, had become the founding Christian monarch of the realm. Dying without leaving an heir, pagans soon once again assumed control of Hungary, but it would seem this is a land Christendom was destined to call its own. When László recently succeeded his brother Geza I as King of Hungary, he nationalised Christianity so utterly, and with such fervour, that he is already being deemed by many to be a living Saint. Though it is clear that the Pope's approval of László's unusual piety has no doubt re-established Hungary as a respectable Catholic kingdom, it would appear that the Hungarians will soon be taking on another Christian power should they wish to expand at all. The Holy Roman Empire and Poland essentially cut off all of Hungary's options to the west or north respectively, leaving Moldavia and Wallachia as the paths of least resistance out of the Carpathian mountains. Of course, to follow such a path is to spoil the plans of the Byzantine Empire to regain its western provinces. Avoiding interfering with Byzantine interests leaves only one other option, sweeping north around the Crimea into the Ukraine. This however, simply replaces one Orthodox adversary with another, and will require immediate action, as the armies of Novgorod are already poised to sweep southward to unite the Russian principalities. Regardless what László's first move is, nothing will change the fact that Hungary has become Catholicism's physical front line against all other faiths - Something that will doubtlessly bring great glory, yet even greater bloodshed.
역사
동유럽에서 나타난 마자르족은 기원이 분명하지 않다. 이들은 로마시대에 대대적으로 유럽을 침공한 훈족의 후예로 예상되며, 그 이름을 따 헝가리라고 부른다고 한다. 유목민족인 이들은 약탈로 생계를 이어나갔기 때문에 서유럽, 특히 신성로마의 매우 큰 골칫거리였다. 마자르족은 요새화된 성이나 도시를 피해다니며 촌락과 수도원을 약탈하고 본거지로 돌아가는 식으로 생활하였다. 하지만, 레히펠트 전투에서 신성로마의 오토 1세에게 크게 패하고 국경 변경지에 요새들이 속속 설치되면서, 결국 마자르족들은 약탈 생활을 포기하고 동쪽으로 물러나 헝가리 평원에 정착하는데 이것이 헝가리 왕국의 전신이 된다. 헝가리인들은 유목적 전통을 서서히 버리고 농경생활에 적응하였는데, 이때 카톨릭을 받아들이면서 처음으로 연대기를 작성하게 되었다.
군대
마자르족은 농경생활로 바꾸긴 했지만 유목적 전통이 강하게 남아 있기 때문에 궁기병이 매우 발달되어 있었다. 이들은 능숙하게 말을 몰면서 자유자재로 활을 쏠 수 있지만, 서유럽의 봉건제를 받아들이면서 점차 중장기병을 이용하는 봉건군대 편제를 채용하게 되었다. 하지만, 유목적 전통이 완전히 사라진게 아니라서, 헝가리는 유럽식의 중장기병과 유목민족식의 궁기병을 같이 편성한 독특한 군대를 운용하였다.
장점: 중무장 기사와 숙련된 궁기병의 조합
- 강력한 충격기병과 빠른 궁기병의 조합 가능
- 카톨릭 국가 중 유일하게 매복 가능한 암살자 보유
단점: 훌륭한 공격형 보병이 부족함
- 중무장 유닛의 낮은 방패 보너스
- 강력한 후기 전문 병과가 부족함
포르투갈 (Portugal)
Of all of the European royal courts, Portugal is the youngest, having only just recently come of age, growing from county to Kingdom. As is typical at this stage of life, there have been more than a few growing pains for Portugal, and its inaugural King, Afonso Henrique. As if being recognised as the sovereign of a land were not hard enough at the best of times, Afonso's own mother attempted to seize power for herself before he was forced to defeat and then exile her! As grim as Portugal's first years have been, there is no doubting that these shameful acts of betrayal within his own family have ensured that Afonso is a true survivor - and only a man that has endured through such troubles is likely to turn his fledgling Kingdom into a western power. Portugal's greatest threat does not lie within however...Despite some of the Kings and Emirs of the Iberian Peninsula supporting religious tolerance, the Christian and Islamic faiths do not appear to be able to share these lands peacefully. The ongoing Reconquista seems almost certain to ensure that the Moors will be an enemy of Portugal, at least until they are driven back across the straits of Gibraltar. That said, even then they will still be an immediate threat. The other obvious threat is that of Alfonso el Valiente. No matter how noble he may be, any man who would declare himself Emperor of Spain essentially declares himself the rightful ruler of all of Iberia. It is entirely possible that he will seek to once again make Portugal a mere county to offer in his political barter. Some of the Portuguese believe that the best tyranny to face is that of distance. Poised on the edge of the civilised world, perhaps Portugal's fortunes lie across the seas and oceans, rather than across her immediate borders.
역사
고대 로마 시대엔 다수의 켈트족이 이베리아 반도와 갈리아 지방에 거주하고 있었다. 이 중 포르투갈 지방에 살던 켈트인들을 루시타니아인이라 부른다. 이후 게르만족의 이동으로 수에비족이나 서고트족이 들어오기도 하였지만 가장 큰 위협은 무어인들의 침입으로, 이 때 포르투갈은 북부 일부를 제외한 모든 지역을 상실하게 되었다. 포르투갈인들은 남아있는 북부거점을 기점으로 무어인들에게 빼앗긴 영토를 회복해 나갔는데, 12세기 경이 되어서야 알폰소 엔리케왕의 통치 하에 빼앗긴 영토를 어느정도 회복하고 포르투갈 왕국을 세울 수 있었다. 이후의 포르투갈 왕들도 레콩퀴스타를 계속 수행하여 무어인들의 영토를 공격하였으며, 1270년 아폰수 3세때에야 지금과 같은 포르투갈의 국경선이 성립되었다.
군대
포루투갈 군대의 발전은 스페인의 경우와 흡사하여, 경무장인 아랍 군대를 상대하기 위해 경무장 투창병이나 경기병을 선호하였다. 루시타니아인들이 선호한 투창은 기병에게 매우 위협적이었으며, 말에게 명중시켜 기수를 낙마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이베리아 반도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포르투갈은 레콩퀴스타 이후엔 스페인의 영토에 둘러싸여 육지보다는 해양으로 진출할 수 밖에 없었다. 때문에, 포르투갈 왕실은 적극적으로 대양 항해를 장려하였고, 아프리카의 희망봉을 가장 먼저 발견하기도 하였다.
장점: 훌륭한 경보병과 해군력, 우수한 경기병
- 최강의 해군. 빠른 신대륙 확장 가능
- 성능이 우수하고 등장타이밍이 빠른 경장유닛들
- 성능이 우수한 화약무기
단점: 직업군이 부족함
- 다른 유럽 국가보다 수준이 떨어지는 중기병
- 주력 보병들의 비싼 유지비
스코틀랜드 (Scotland)
William the Conqueror may have undisputed claim over the Kingdom of England, but he must still deal with the Celtic Lords of Scotland should he have designs on calling himself monarch of the British Isles. In fact, Malcolm III, the ruling King of Scotland has already made several forays into England's north since the Normans have arrived, continuing a legacy of conflict between Celtic and continental bloodlines that has existed for over a millennium. Scotland may have a proud track record of defying much greater powers south of the border, including the mighty Roman Empire, but some of the highland nation's more brilliant scholars are now preaching caution to Canmore. The Britons are no longer a distant set of islands on the edge of civilisation, and to continue to think of this position as being truly secure would be to lie to one's self. The arrival of the Normans, with their heavy cavalry is proof that continental powers are now capable of arriving in force across the sea, and that warfare itself is evolving. None of Canmore's thrusts into Northumbria have thus far been decisive, and perhaps this is not something Scotland should be doing alone. At present, the French would appear to be Scotland's most logical ally. The animosity between the French monarchy and the Normans has only grown with William's expansionist behaviour, and Philip would be mad not to want England's attention split across two fronts. Of course, until the Scots can either secure a powerful ally or bring their armed forces up to the standards of the major European powers, it may be well worth it for Malcolm III to simply swallow his pride and avoid entering any further conflict with the English, or heaven forbid, contemplate an alliance.
역사
브리타니아 지방은 앵글로 색슨족이 들어오기 전에 켈트족이 거주하고 있었다. 이들은 색슨족의 침입으로 북부와 서부로 밀려났으며, 각각 아일랜드, 웨일즈, 스코틀랜드에 정착하였다. 북부에선 고지대에 거주하던 픽트인과, 아일랜드에서 이주한 스콧인, 그리고 색슨족에게 쫓겨난 브리튼인들이 모여 스코틀랜드 왕국을 건국하였는데, 각자의 언어와 풍습이 달라 심하게 분열되어 있었다. 하지만, 노르만 왕조가 잉글랜드를 정복하고 스코틀랜드를 압박하면서, 각각의 종족을 넘어서는 통일된 민족의식이 싹트게 되었다. 스코틀랜드의 왕은 잉글랜드 왕에게 신서하는 선에서 자치권을 행사하였지만, 과중한 세금이나 억압으로 인해 언제라도 충돌할 여지가 남아있었다. 대표적인 것이 에드워드 1세 때의 충돌로, 과중한 세금을 견디지 못한 스코틀랜드가 프랑스와 동맹을 맺고 신서를 부정한 것이었다. 에드워드 1세는 군대를 이끌고 스코틀랜드군을 대파시키고 다시 종속시켰는데, 이 때문에 스코틀랜드에서 대대적인 항쟁이 일어나게 된다. 대표적인 인물이 윌리엄 월리스와 로버트 브루스인데, 이들의 지속적인 항쟁으로 잉글랜드는 국력을 소모하다가 결국 에드워드 1세의 죽음으로 스코틀랜드의 독립을 승인하게 되었다.
군대
켈트족은 분열되어 있었기 때문에 로마인이나 게르만족에게 밀려나게 되었지만, 개개인은 매우 용맹하고 뛰어난 전사였다. 이들은 얼굴에 군청색 칠을 하고 검을 장비하고 보병으로 전투에 종사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스코틀랜드는 웨일즈처럼 장궁을 사용하는 전통이 없었고 고지대는 기병을 운용하기에 불편했기에, 궁병이나 기병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색슨족이나 바이킹들도 기병을 그다지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보병만으로 충분했지만, 새로이 잉글랜드를 정복한 노르만 왕조는 기병을 애용했기 때문에, 이를 상대하기 위해 스코틀랜드군은 밀집대형의 장창병을 운용할 수 밖에 없었다.
장점: 훌륭한 파이크병과 스피어병을 보유
- 다양한 장창병
- 주력보병과 경기병의 등장시기가 빠름
단점: 부족한 기병, 귀족들이 보병으로 싸움
- 궁기병이 없고 중기병이 약함
- 궁병들의 사거리가 짧음
그리드형(광고전용)
'[토탈워 : 미디블 2] > [게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략/요인] 첩보원(Spy) 도둑길드(Thief Guild) (16) | 2009.02.28 |
---|---|
[공략/팩션] 미디블2토탈워 논플레이어블 팩션 (13) | 2008.11.09 |
[공략/팩션] 미디블2토탈워 플레이어블 팩션 (정교, 이슬람) (6) | 2008.09.19 |
[공략/팩션] 미디블2토탈워 스타팅 팩션 (카톨릭) (6) | 2008.09.19 |
[공략/일반] 병과 스탯 설명 (8) | 2008.09.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