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탈워 : 미디블 2]/[게임정보]

[공략/팩션] 미디블2토탈워 플레이어블 팩션 (정교, 이슬람)

by 구호기사 2008. 9. 19.
728x170



비잔티움 (By
zantium)


Byzantium is the shadow that remains of the old Roman Empire. It is a mere shadow because despite retaining the civilised ways of the Roman legacy, the Byzantines have done little to further it. In fact, it is their reverence of the old ways that has brought the empire to a point of stagnation, in a world that has gradually kept mov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hinking in Byzantium and the west were most profoundly highlighted with the Great Schism, the division of Christendom. Despite boasting the world's trade capital and home of Orthodox Christianity in Constantinople, the Byzantine Empire is well past its zenith and is now in steady decline. The outer regions of the empire have been slipping from the Emperor's grasp for decades now. To the west, the Normans have taken southern Italy, and in the east the Turks have moved into Asia Minor after their decisive and terrible victory at Manzikert. The latter of these two losses was the worst defeat the Empire had suffered in its entire history. To make matters worse, general corruption, chaos and dissent has lead to some of the other provinces closer to home to rebel. Arguably, the greatest threat to Byzantium lies in its independence from Rome. There is significant risk that the lords of the west will consider the lands of Orthodox Christianity to be fair game unless the Pope decrees otherwise. It is a true irony that Constantinople may now have to appease Rome after becoming the new capital of the Roman Empire centuries ago. If the Byzantine Empire is to once again become the dominant power of the east, then it will first need to reclaim its heartlands wholly before encroaching upon the borders of another power. The Byzantine legacy is long and predominantly proud, but unless the Emperor can turn things around in a hurry, it is a legacy that will soon end.

역사

동로마 제국으로 더 잘 알려진 비잔틴 제국은,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로마에서 비잔티움으로 천도하면서 생겨났다. 지나치게 비대해진 로마 제국을 통치하기 위해, 수도를 아시아의 부가 집중되는 비잔티움으로 옮기고 서로마 지역은 부제를 통해 간접 통치하였는데, 부제의 몰락과 게르만 족의 침입으로 점차 서로마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상실하게 되었다. 황제의 보호를 기대할 수 없게 된 이탈리아인들은 로마 대주교에게 강대한 권력을 주고 그의 보호를 받게 되는데, 이것이 로마 교황의 시초가 되며 이후 성상 파괴 운동과 교리해석 문제로 로마 카톨릭과 그리스 정교회는 분리되었다. 이탈리아 지역을 상실했다 하더라도 비잔티움은 전 유럽에서 가장 부유한 지역이었기에 사라센, 투르크, 불가리아, 페네체크, 루스, 시칠리아 등 주변 민족의 끝없는 침입을 받게 되었고, 만지케르트에서 셀주크 투르크에게 뼈아픈 패배를 당하면서 회생 불가능한 타격을 입게 된다.

군대

비잔티움은 초기엔 로마식의 군제를 따랐으나, 이 제도가 붕괴한 이후 프로노이아로 불리는 독특한 토지제도를 통해 군사를 충원하였다. 이는 군대 복무의 댓가로 토지를 준 제도였으나, 후기에 프로노이아 제도가 붕괴하고 지방의 유력자가 토지를 독점하면서 서구식의 봉건제로 변질되고 만다. 정규군 제도가 붕괴되고 소아시아 지역을 상실한 후 비잔티움은 국방의 상당 부분을 용병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는데, 이들은 몸값이 비싸고 변덕이 심하며 배신을 밥먹듯이 해 비잔티움을 빠르게 약화시켰다. 대표적인 것이 카탈루냐 용병대가 일으킨 내전으로, 이 때문에 비잔티움은 재정이 고갈되고 국력이 약화되었다.

장점: 우수한 중기병과 궁기병, 유능한 궁수
- 안정적인 성능의 직업군
- 대부분의 병과가 사막과 설원 페널티가 없음

단점: 후기 화약 기술병이 약함
- 총병이 없고, 대포의 수준이 많이 떨어짐
- 암울한 민병대
- 창병이 매우 약함



러시아 (Russia)


The Rus' are a people divided, though that is hardly a character judgement for the folk who live in the largest single kingdom in Europe. Kiev may actually be the royal capital of this Kingdom, and the site where the Rus' embraced Christianity, but it is far to the north that the true power of the realm currently lies. Positioned just off the eastern end of the Baltic Sea, Novgorod is presently one of the most important trade hubs in the region, while in Kiev, disputes over succession have destroyed any sense of organisation or unity. With the royal court in Kiev in such disarray, it would seem that any immediate military campaigns should be launched from around the trade capital of Novgorod. In fact, the first order for Vsevolod, Grand Duke of Kiev is to re-assert his undisputed control all the way down to the capital to the south. Should he manage this, the Rus' will be free to unify all of the steppes into the mightiest power of the east. Simple and obvious in principle, this plan will require swift and decisive action. The fledgling kingdoms of Poland and Hungary to the southwest are just as well placed to move and assume control of the Rus' capital. Byzantium to the south is also desperate to restore its former glory by taking new territories, and it was only through Vsevolod's marriage to the Byzantine princess Maria that prevented the empire from striking back at the Rus' after they failed in their assault of Constantinople. They will not forget that they defeated the Rus' so recently...This is not something that the present Rus' army should forget either. Unless they can start recruiting from several population centres at once again, they will not be able to field a force capable of stopping any of the serious foreign powers at all.

역사

노르만족의 이동으로 많은 수의 바이킹들이 노브고로드에 정착하여 동슬라브족을 지배하였는데, 이들은 곧 슬라브족에게 동화된다. 이를 루스인이라고 하며, 노브고로드에 공국을 세워 러시아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이후 바랑기안 출신인 올레크 공이 수도를 노브고로드에서 키예프로 옮기면서 키예프 공국이 탄생 되는데, 블라디미르 1세가  그리스 정교를 받아들이면서 키예프 공국은 러시아 지역의 중심 국가가 된다. 하지만, 바투가 이끄는 몽골군의 침입으로 키예프 공국은 몰락하고 러시아 지역은 오랜 기간 킵차크 한국의 지배 하에서 지낼 수 밖에 없었다. 이후 13세기 모스크바 공국이 힘을 모아 몽골의 지배에서 벗어날 수 있었으며, 이반 4세에 이르러 처음으로 차르라는 칭호를 사용하면서 제국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군대

러시아의 노르만 정복자들은 주로 보병으로 전투에 나선 바이킹 전사들이었지만, 이들은 점차 슬라브족에 동화되었고 동유럽의 평원에 적응하여 보병보다 기병전술을 중시하게 되었다. 러시아의 군대에서 유명한 것은 코삭이라고 알려진 군대 조직으로, 이들은 유목민 부족이거나 독립적인 농민 공동체인데, 군대에 복무하는 대신 세금을 감면받고 자치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 코삭들은 매우 용맹한 기병들로 명성이 높았으며 게릴라전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였다.

장점: 원거리 기병과 근접기병의 강력한 조합이 가능함
- 다양하고 강력한 기병진
- 쓸만한 후기병과들
- 성능이 우수한 화약무기

단점: 형편없는 초기 병과와 원거리 병과
- 초반에 쓸만한 병과가 매우 부족함
- 암울한 민병대



이집트 (Egypt)

At a time where religious intolerance is common throughout the known world, Egypt stands out as an enlightened melting pot of religions and ideologies. Descendents of Mohammed's daughter Fatima, the Fatimid rulers of Egypt are Shiite Muslims, but Sunnis, Jews and Christians still hold offices and government positions. Unlike the age of the Pharaoh, bloodline is now considered secondary to ability and talent in Egypt, making it a very progressive and balanced nation. After being assimilated into several empires over the past couple of millennia, the people of the Nile have proven to be culturally flexible and great survivors. For all its merits, the Fatimid dynasty was once a little mightier than it is now, with its borders receding after a reign of madness and mismanagement by Caliph Al-Hakim. Fortunately for the Egyptians, none of their neighbours are bearing down upon their lands - in fact, expanding in any direction shouldn't prove a problem. The Moors lie much too far to the west to be considered an immediate threat, and the Holy lands beyond Gaza are presently ruled by petty Sheikhs and Emirs that are backed by none of the major empires. Though the problems facing the Egyptians close to home aren't anything a decisive ruler can't deal with, any Egyptian forays into the Holy lands will no doubt be subject to Catholic invasion from across the Mediterranean. Regular military pilgrimages by European Christians to Jerusalem seem an inevitability, as do counter-attacks from other Muslim powers such as the Turks. Expand and consolidate quickly and the world could be your oyster.

역사

이슬람교가 생겨난 이후 이집트 지역엔 파티마 왕조가 형성되어 있었다. 파티마 왕조는 시조를 마호메트의 딸 파티마라고 주장하였으며, 수니파를 받아들인 투르크와는 달리 시아파에 속해 있었다. 십자군 시대에 파티마 왕조가 예루살렘 왕국의 공격을 받고 지원을 요청하자, 투르크 장군 누레딘은 쿠르드족 출신의 장군 시르쿠를 파견하는데, 시르쿠의 조카인 살라딘이 약해진 파티마 왕조를 정복하고 이집트에서 독립하여 아이유브 왕조를 창립하게 된다. 이에 배신감을 느낀 누레딘은 이집트 정벌을 준비하다 병사하였고, 오히려 누레딘의 아들은 살라딘의 아이유브 왕조에게 병합되고 만다. 살라딘은 예루살렘을 탈환하는 등 다양한 업적을 세웠으나, 살라딘이 죽고 자식들이 분열되어 서서히 약해지다가 노예병들인 맘루크들이 정권을 잡으면서 맘루크 왕조로 바뀌게 된다.

군대

이집트의 대표적인 병과는 맘루크라 불리는 노예병으로, 이들은 투르크족 노예를 모아 훈련을 시킨 군대였다. 이들은 근접전투, 활쏘기, 승마 등 다양한 전투기술을 익혀, 정예부대로 성장하였다. 이슬람의 노예는 유럽보다 매우 대우가 좋았으며, 재산을 모을 수도 있고 출세해서 관직을 잡을 수도 있었다. 맘루크들은 보병훈련도 하지만 실전에선 대부분 기병으로 종사하였고, 마상에서 근접무기와 활을 능숙하게 다룰 수 있었다.

장점: 특수하고 강한기병 맘루크에 의지한다.
- 장갑관통 특성의 기병이 많음
- 주력기병의 등장시기가 빠르고 범용성이 좋음

단점: 후기 중무장 보병이 부족함
- 쓸만한 후기 병과가 부족함
- 부족한 대포 종류



투르크 (Turk)


The Turks may very much be relative newcomers to both Anatolia and the Holy Lands, but the impact that they have had upon these realms since they migrated from the steppes east of the Caspian has been profound enough to shake the pillars of the oldest and mightiest neighbouring dynasties. Having seized control of the Abbasid Caliphate from the Buyids, and utterly crushed the Byzantines at Manzikert, the Turks have restored unity to the eastern Islamic region, making them arguably the greatest power Arabia or Persia has seen for centuries. Settling down has been the Turks' secret to asserting their dominion. Traditionally a nomadic people, they have at last adopted a system of centralised rule to form the Seljuk Empire. Considering they have relied upon their natural skill at mounted combat and guerrilla warfare for centuries, the Turks have already shown incredible talent at governing a vast empire from a single throne. In the foreseeable future, arrogance and complacency are likely to be the biggest threats to the mighty Seljuk Empire. To expect Byzantium to underestimate Turkish forces after the slaughter of Manzikert would be folly, and it can be taken as given that they will attempt to regain control of Anatolia. It would also be foolish to believe that the Fatimid dynasty in Egypt will be content to simply overlook the fertile banks of the Nile - They are just as well placed to seize control of all of the Holy Lands. So long as the Turks manage to combine their new system of centralised government with their innate abilities as mounted warriors, then their position in this corner of the world looks most secure. After all, how likely is it that an even more fierce and formidable race of nomadic warriors sweep down from the steppes?

역사

투르크족은 중앙아시아에 분포한 유목민족으로, 말타기와 활쏘기에 능해 주로 용병으로 활동하였다. 중앙아시아의 투르크 부족들은 각각 이슬람교를 받아들이거나 그리스 정교를 받아들였는데, 이 중 셀주크 가문이 이끄는 투르크멘 부족이 이슬람 수니파를 받아들이고 페르시아의 용병으로 활약하였다. 세력을 모은 셀주크는 페르시아에서 독립해서 셀주크 투르크를 세우게 되는데, 바그다드를 점령하고 이슬람 세계의 통일을 노리게 된다. 이들은 곧 아르메니아, 그루지야를 복속하고 아나톨리아를 공격했으며, 만지케르트 전투에서 비잔티움에게 커다란 타격을 입히기도 하였다. 하지만 왕위 계승 문제 때문에 셀주크 투르크는 몰락하고, 이후 13세기 말 오스만이 이끄는 투르크멘 부족이 오스만 제국을 세움으로서 새로운 전기를 맞이한다. 오스만 투르크는 소아시아 전체를 점령하고, 콘스탄티노플을 함락시켜 비잔티움을 멸망시킨 뒤 헝가리까지 복속시켜, 중세 말의 최강대국으로 명성을 떨쳤다.

군대

유목민족인 투르크멘 부족들은 기본적으로 말타기와 활쏘기에 능한 전사들이었다. 이들은 스웜 전술로 잘 알려진 궁기병 운용 전술을 선호하여 유럽 군대를 여러번 격퇴하였다. 이후에 등장한 오스만 투르크는 예니체리라고 알려진 노예병을 이용해 기병보단 보병 중심으로 군대를 편성하였다. 예니체리는 기독교도 가정의 어린아이를 모아 훈련시킨 병사들로, 규율이 엄격하고 제약이 많은 대신 많은 재산을 모을 수 있었다. 예니체리는 유럽 최초의 근대적인 군대로 평가받고 있으며, 개인적인 용맹을 중시하던 서유럽의 기사들과 달리 엄격한 규율에 따른 집단전을 선호하였으며, 한동안 유럽 최강의 군대로 명성을 떨치게 된다.

장점 : 매우 우수한 궁기병과 예니체리 보병대 보유
- 싸고 강력한 궁기병
- 후기에 등장하는 강력한 예니체리 병과

단점 : 중갑옷과 초기 보병이 부족함
- 쓸만한 초기 보병이 부족함
- 주력 병과의 비싼 가격과 유지비



무어 (Moor)


The Moors were originally a nomadic people, the original inhabitants of Mauretania on the north coast of Africa. They rose from obscurity in the 8th century when they converted to Islam, and proceeded to spread rapidly in several directions - including north-west into the Iberian peninsula. They soon had almost total dominion over all of Iberia with the exception of the lands to the north where some resilient Christians held fast, but Islamic Spain was a collection of cities more than a true caliphate - until now. The Almoravid Berbers have risen from their homelands near the west coast of Africa to establish their capital in Marrakesh, and assume control of the Moorish empire. Their dominance over this corner of Africa is absolute, and the sense of unity they have brought to the Moorish empire has once again restored order in southern Iberia. This move for stable Islamic rule is however also the cause of the greatest threat to the Moors... Christian unity. Once weak, uncultured and disorganised, the kingdoms of Leon and Castile are now unified in their challenge against Islamic rule of the peninsula, and look set to actually launch a genuine offensive to revive their Reconquista. Their heroes such as El Cid are extremely admirable adversaries, as men who are driven with what they believe to be a noble purpose always are.Perhaps the best course of action for the Moors is to play the rulers of Portugal and Castile against one another. So long as they are united in a religious crusade against Islam they are the Moors' greatest threat. Of course, the greed of Christian leaders is something that can be counted upon, and siding with one of these two powers could be possible even if it is undesirable. It is an option they must keep in mind, for expanding too far eastward towards Arabia involves taking on other followers of Islam such as the Egyptians... something most unlikely to be the will of Allah.

역사

무어인은 북아프리카의 무슬림들을 일컺는 말로, 특별한 인종을 가리키는게 아니라 이슬람화된 북아프리카인들을 통틀어 칭하는 말이다. 이들은 이베리아 반도를 통해 유럽으로 진출하였는데, 이베리아 반도 남부는 무어의 알모라비드 왕조에 의해 통치되었다. 이들의 진출에 위협을 느낌 교황은 십자군을 소집하여 공격했으나 알모라비드 왕조는 이를 격파하고 이베리아 반도를 점령해 나가기 시작했다. 리스본, 그라나다 등이 무어의 지배로 넘어갔으나, 엘 시드가 지키는 발렌시아만이 끝까지 저항하는데 성공하였다. 이후 알모라비드 왕조는 쇠퇴하고 오랜시간 분열하였다가 북아프리카에서 알모하드 왕조가 생겨나 알모라비드를 쓰러뜨리고 이베리아 반도로 진출하게 되었다. 알모하드는 카스티야군과 포르투갈군을 물리치고 한 때 세력이 강성했으나,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에서 이베리아의 기독교 국가 연합군에게 패배하면서 몰락하게 된다. 이후 레콩퀴스타가 진행되면서 무어는 이베리아 반도에서 밀려나 북아프리카로 되돌아가게 되었다.

군대

무어왕조의 군대는 베르베르인이나 아프리카인으로 이루어진 부대를 운용하기도 했지만, 가장 주축이 된 부대는 기독교도로 이루어진 근위대였다. 기독교도 근위대들은 이슬람교가 아니었기 때문에 쿠데타를 일으켜도 정권을 잡을 수 없어 상대적으로 이슬람교도 근위대에 비해 안전하였다. 무어의 군대는 다른 아랍 군대처럼 경무장 기병을 선호하였는데, 이베리아 반도의 기독교 국가와 오랜시간 교류하면서 유럽식의 중장보병, 중장기병 전술도 도입하게 되었다.

장점: 경기병과 보병, 그리고 유능한 창병의 조합이 가능
- 다양한 성능을 가진 기병진
- 강력한 중보병과 단창병

단점: 강력한 후기 병과가 부족함
- 중무장 병과가 부족함
- 주력 병과의 늦은 테크트리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